오라클 DB 성능 최적화: 뷰 vs 트리거 vs 프로시저, 무엇이 가장 효과적인가?

오라클 데이터베이스에서 성능 최적화를 고려할 때, 자주 비교되는 세 가지 기능이 있다: 뷰(View), 트리거(Trigger), 프로시저(Procedure). 각각의 기능은 목적과 성능 특성이 다르며, 용도에 맞게 적절히 사용해야 최적의 성능을 기대할 수 있다.

1. 뷰(View): 조회 성능 최적화에 유리

는 SQL 쿼리를 미리 정의한 가상 테이블로, 복잡한 조회 로직을 단순화하고 재사용성을 높여준다. 실시간으로 데이터를 조회하기 때문에 성능 이슈가 발생할 수 있지만, Materialized View(물리적 뷰)를 사용하면 캐싱을 통해 조회 속도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추천 최적화:

  • 복잡한 조회에는 Materialized View 사용
  • 뷰 내부 SQL에 불필요한 JOIN 제거
  • 실행계획(EXPLAIN PLAN)으로 성능 확인

2. 트리거(Trigger): 자동화에는 좋지만 성능에는 주의

트리거는 INSERT, UPDATE, DELETE 등 데이터 변경 시 자동 실행되며, 데이터 무결성이나 자동 로그 처리 등에 유리하다. 하지만 너무 많은 로직이 트리거에 들어가면 디버깅이 어렵고 성능 저하로 이어질 수 있다.

추천 최적화:

  • 복잡한 로직은 트리거에서 분리해 프로시저로 이동
  • 대량 작업 시 트리거를 비활성화하거나 배치 처리 활용
  • 불필요한 트리거는 제거 또는 DISABLE

3. 프로시저(Procedure): 대량 처리에 최적

프로시저는 서버 측에서 실행되는 PL/SQL 블록으로, 반복 작업이나 대량 데이터 처리에 강력하다. 네트워크 왕복을 줄여 성능이 개선되며, 병렬 처리나 결과 캐싱 같은 고급 최적화도 가능하다.

추천 최적화:

  • 병렬 처리 힌트 사용 (예: PARALLEL)
  • 결과 캐싱 (RESULT_CACHE) 활용
  • DBMS_PROFILER로 병목 구간 분석

결론: 어떤 기능이 성능에 가장 좋은가?

최적화는 상황에 따라 달라진다. 조회 중심의 시스템이라면 Materialized View가, 데이터 무결성 보장이 필요하다면 트리거가, 복잡한 로직 처리에는 프로시저가 적합하다. 중요한 것은 기능의 목적에 맞는 적절한 사용이다.

실전 팁: 모든 기능을 동시에 사용하는 경우에도 중복 로직 방지모듈화를 고려하여 구조를 설계해야 한다. 잘 설계된 아키텍처가 곧 성능이다.

🔗 참고 링크

  1. how to view list of all constraints,triggers,procedures …etc
  2. Trigger on Views in PL/SQL – oracle database
  3. Will Oracle Trigger cause performance issues
  4. Trigger v/s Procedure execution Speed (performance speed)
  5. Speed Up Oracle View Performance – Database Tuning

댓글 남기기